728x90




Kim Seong-nyeo <The Fairy in the Wall>


Original Script Fukuda Yoshiyuki

Writer Bae Sam-sik 배삼식

Director Sohn Jin-chaek 손진책 

Music Kim Chul-hwan 김철환


Monodrama Festival @ Namhansanseong Art Hall, Gwangju, KOREA

photographed by Julie Mayfeng























,
728x90





Park Jeong-ja <Farewell forever(Yeongyeongibyeol yeongibyeol)>


Writer Kim Byeol-a 김별아

Director Choi Chy-rim 최치림


Monodrama Festival @ Namhansanseong Art Hall, Gwangju, KOREA

photographed by Julie Mayfeng














,
728x90





Ahn Sook-sun <Simcheongga>


Monodrama Festival @ Namhansanseong Art Hall, Gwangju, KOREA

photographed by Julie Mayfeng












,
728x90





Son Sook <My very last possession>


Writer Park Wan-suh 박완서

Director Yoo Seung-hee 유승희


Monodrama Festival @ Namhansanseong Art Hall, Gwangju, KOREA

photographed by Julie Mayfeng



















,
728x90



MONOCLE

ISSUE 85 Affairs Report

Briefing Asia - Hip to be square

Writer JWS

Photographer Julie Mayfeng






,
728x90





극단 자유 50주년 기념 공연

<그 여자의 함정>

<PIEGE POUR UN HOMME SEUL de Robert Thomas>


Translation 이병복

Director 최치림


다니엘(남편) 최규환

프로랑스(처) 곽명화

형사부장 오영수

막시먼신부(사제) 고인배

영감(떠돌이) 권병길

벨톤양(여의사) 채진희


photographed by Julie Mayfeng






Who is Robert Thomas?


섹스 미스터리 스릴러물 작가 로베르 토마 Robert Thomas는 1927년 9월 28일 프랑스의 오트잘프 Hautes-Alpes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이름은 로버트 알버트 루이스 토마스 Robert Albert Louis Thomas, 1989년 1월 3일, 62세의 나이에 심근경색 heart attack으로 죽었다. 의문투성이의 그의 삶 중에 그가 마친 연극 수업으로는 열네 살에서 열여덟 살 때까지 프랑스어로 적혀있는 모든 희곡을 다 읽은 거라고. 





1960년, 서른 셋의 그는 오펜바흐가 문을 연 유서 깊은 파리 샹젤리제에 있는 프랑스 희가극 극장 부프 파리지앵 les Bouffes-Parisiens에서 막이 오른 <낯선 여인의 함정 (Piege pour un homme seul)>의 작가로 일약 주목을 받으며 본격적인 작가 생활을 시작했다. 그 후 그는 앨프리드 히치콕 감독의 미스터리 스릴러물의 프랑스 원작 판권을 양도받아 자신의 작품에 새로운 미스터리 스릴러를 융합 개작하여 대단한 흥행작가로 관심을 끌었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살인 게임이다. 물론 블랙 코미디물들이다. 생전에 연극, 영화, 티브이 시리즈 등 엄청나게 많은 다작 작품을 생산했지만, 그의 작품이 발표될 때마다 프랑스의 수많은 평론가들은 찰거머리떼처럼 달려들어 대중들이 그렇게 열광하는 그의 작품들은 모두 다 허접한 쓰레기들일 뿐이라 가차 없이 매도했다. 






국내에도 <낯선 여인의 함정>, <그 여자 사람 잡네>, <제2의 침대>, <8명의 여인들> 등이 소개된 적이 있다. 그 중에서 그의 원작 대본을 각색하여 프랑수아 오종이 감독한 <8명의 여인들(8 Femmes)>은, 베를린 영화제에서 은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가 죽고 그의 마법과 같은 흥행 작품들은 단 한편도 다시 무대에 오르지 않았다. 모두 다 바람과 함께 사라져버렸다. 심지어 그에 대한 모든 주변 연락처조차도 다 끊어졌다. 아무리 새들이 날아간 둥지에 깃털을 남기지 않는다지만. 이렇게 감쪽같이 생의 모든 흔적을 지우고 사라지기도 쉬운 일이 아니다. 마법과 같은 의문이다. 글. jrkim











,
728x90






극단 자유 50주년 기념 공연

<그 여자의 함정>

<PIEGE POUR UN HOMME SEUL de Robert Thomas>


Translation 이병복

Director 최치림


다니엘(남편) 최규환

프로랑스(처) 곽명화

형사부장 오영수

막시먼신부(사제) 고인배

영감(떠돌이) 권병길

벨톤양(여의사) 채진희


photographed by Julie Mayfeng


















,
728x90





카이로스 (고대 그리스어: Καιρός라틴 문자전사: Kairos, 라틴어형: Caerus)는 그리스어로 '기회 (찬스)'를 의미하는 καιρός를 신격화한 남성신이다. 원래는 '새긴다'라는 의미의 동사에 유래하고 있었다고 한다. 히오스의 비극 작가 이온에 의하면,제우스의 막내동이로 되어 있다.


카이로스의 풍모의 특징으로서 두발을 들 수 있다. 후대에서의 그의 조각은 앞머리는 길지만 후두부가 벗겨진 미소년으로서 나타내지고 있어 '기회의 신은 앞머리 밖에 없다' 즉 '호기는 빨리 포착하지 않으면 나중에 파악할 수 없다'라는 의미이지만, 이 속담은 이 신에 유래하는 것이다고 생각된다. 또, 양다리에는 날개가 뒤따르고 있다고도 한다. 올림피아에는 카이로스의 제단이 있었다.


그리스어에서는 '때'를 나타내는 말이 καιρός (카이로스)와 χρόνος (크로노스)의 2가 있다. 전자는 '시각'을, 후자는 '시간'을 가리키고 있다.


또, '크로노스 시간'으로서, 과거부터 미래로 일정 속도·일정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흐르는 연속한 시간을 표현해, '카이로스 시간'으로서, 일순간이나 인간의 주관적인 시간을 나타내기도 한다.






,

20150605

카테고리 없음 2015. 6. 6. 03:52
728x90




하루 24시간 내내 라디오를 켜 놓으면

같은 음악이 나올 때도 있다.


오늘은 섬집 아기를 두 번 들었다.




,
728x90



,
728x90

영혼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해도 그것이 통째로 만들어져서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영혼은 일생에 걸쳐서 이승에서 창조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산다는 것은 그 길고도 고통스럽기 짝이 없는 출산의 과정에 불과하다. 우리 자신과 고통에 의해 창조된 영혼이 드디어 준비되면 바야흐로 찾아오는 것이 죽음이다. 

,
728x90
기유. 예술가의 딱한 점은 그가 온전한 수도승도 아니고 세속인도 아니라는 사실 ㅡ 그리고 그가 두 종류의 유혹을 동시에 느끼고 있다는 사실이다.
,
728x90


여행의 가치를 이루는 것은 바로 두려움이다. 어느 한 순간, 우리 나라나 우리 나라 말과 그토록 거리가 먼 곳에서(프랑스어로 된 신문 한 장도 말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그리고 낯선 카페에서 어깨를 맞대고 앉을 사람이 그리운 이런 저녁들도 그렇다) 어떤 막연한 두려움이 문득 우리를 사로잡고 옛 습관들의 보금자리로 되돌아 가고 싶은 본능적 욕망이 밀려드는 것이다. 그것이야말로 여행이 가져다 주는 가장 확실한 선물이다. 그 순간 우리는 열에 들뜨는 동시에 구멍투성이가 된다. 아주 조그만 충격도 우리의 존재를 밑바닥부터 뒤흔들어놓는다. 폭포처럼 쏟아지는 빛만 모아도 영원이 바로 거기에 있는듯 하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즐거움을 맛보기 위하여 여행한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나는 오히려 그것이 어떤 고행이라고 본다. 교양이란 것이 사람의 가장 내밀한 감각, 즉 영원에 대한 감각의 훈련이라고 정의한다면 사람은 자신의 교양을 위하여 여행하는 것이다. 쾌락은 우리를 우리 자신에게서 멀어지게 한다. 파스칼이 말하는 위락divertissement이 신에게서 멀어지게 하듯이. 가장 위대하고 가장 심각학 지혜인 여행은 우리를 그것으로 되돌아가게 한다. 

,
728x90



삶의 진정한 의미라고 여겨지는 것을 가장 확실하게 손으로 만져본 것은 바로 보잘것없는, 혹은 허영심에 찬 이 사람들 가운데서 영위하는 이 가난한 삶 속에서이다. 



,
728x90





The State Hermitage Museum, Saint Petersburg, RUSSIA ⓒ Julie Mayfeng 





,
728x90




the Mediterranean @ Santorini, Greece

ⓒ Julie Mayfeng


,
728x90




Man and woman @ Saint Petersburg, Russia

ⓒ Julie Mayfeng



,
728x90





Traveler @ Nice, France

ⓒ Julie Mayfeng




,
728x90





A pilgrim @ Assisi, Italy

ⓒ Julie Mayfeng




,
728x90

Pineapple


By: Airbnb

Publisher: Christopher Lukezic

Editor-in-chief: Alex Tieghi-Walker 

Writers: Aaron Britt, David Lane, Jennifer Murphy, Samuel Muston, Michael Smith, Marina Tweed.

Photographers: Janet Delaney, Jonathan de Villiers, Lucas Foglia Emma Hardy, Liz Hingley, Anna Huix, Justin Kaneps, David Lane, Terri Loewenthal, Julie Mayfeng, Kate Peters, Amy Pinkham, Jake Stangel.

Illustrators: Nathaniel Russell, Xavier Poulaney, Agnes Lee, Matt Luckhurst.


Language: English 

Pages: 120 

Size: 9 x 12 in

Binding: Soft Cover

ISSN: N/A


Editorial: Hans Ulrich Obrist: The Blow-Up Generation.



::shop::












,

김언희

inspiration/문장들 2014. 6. 28. 01:12
728x90

마그나 카르타

ㅡ선언하면서 동시에 절규할 수 있다면

 

 

아침부터 썩어 있을 권리가 있고

하루를 구토로 시작할 권리가 있소

매사에 무능할 권리가 있고

누구나 알아듣는 것을 나만 못 알아들을 권리가 있소

껌껌한 콘크리트 방주를 타고 밤마다 대홍수의 꿈을 꿀 권리가 있소

머리 위로 똥덩이가 둥둥 떠다니는 꿈을 밤마다 꿀 권리가 있소

에미 애비도 몰라볼 권리가 있고 딱 오 분만 모친의 부고(訃告)를 즐길 권리가 있소

곡(哭)을 하면서 다리를 떨 권리가 있고 병풍 뒤에서 휘파람을 불 권리가 있소

파니스 안젤리쿠스를 페니스 안젤리쿠스로 번번이 고쳐 들을 권리가 있고

숨이 끊어질 때까지 수음을 할 권리가 있소

수음을 하면서 숨이 끊어질 권리가 있소

더이상 미래가 궁금하지 않을 권리가 있고

젓가락 행진곡만 삼십 년을 칠 권리가 피가 나도록 칠 권리가 있소

단고기를 입에 물고 있으면서도 단고기 생각을 할 권리가 있고

착잡하게 시작해서 찜찜하게 끝을 볼 권리가 있소

소리만 철퍽대다 끝낼 권리가 있소

인생을 바꾸려고 하루 오백 번 항문을 조일 권리가 있고

믿는 도끼에 발등을 대줄 권리가 있소

먼눈이 또 멀 권리가 있고

무엇보다 발가락으로 젓가락질을 할 권리가 있소

대공원의 비둘기가 내 정수리에 버젓이

똥을 눌 권리가 있는 것처럼

 

 

김언희

,
728x90

 

INDIA. Maharashtra. Mumbai. Dhobi ghat. ⓒ Julie Mayfeng

 

 

 

 

,
728x90

'아름다운 사랑이야기 La belle histoire d'amour'를 부르는 파트리샤 카스. 그녀는 권투 글러브를 끼고 노래를 불렀다. 에디트 피아프가 가장 사랑했던 연인, 권투선수였던 마르셀 세르당과의 비극적인 사랑을 표현. 마르셀은 연인 피아프를 만나러 가는 길에 비행기 추락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Patricia Kaas ⓒ Julie Mayfeng

 

 


카스는 피아프를,
나는 카스를 노래합니다.

글. 사진. Julie Mayfeng

 


나의 뮤즈, 파트리샤 카스.
2012년 겨울, 그녀를 만났습니다.

 

 

샹송 그리고 파트리샤 카스와의 인연

 

저는 학창시절부터 샹송을 듣고 자랐습니다. 중학생 때였습니다. 처음으로 용돈을 모아 카세트 테잎이 아닌 CD를 샀습니다. 그것이 파트리샤 카스의 1집 앨범 <노래하는 여인 Mademoiselle chante…>이었습니다. 그 무렵 에디트 피아프(Edith Piaf, 1915~1963)의 ‘사랑의 찬가 Hymne à l'amour’에도 푹 빠져 있었습니다. 합창부에서 배운 곡이었습니다. ‘하늘이 무너져 버리고 땅이 꺼져 버린다 해도, 그대가 날 사랑한다면 두려울 것 없으리……’ 이렇게 슬픈 가사로 시작하는 노래였습니다. 원곡이 궁금해 샹송 사이트에서 찾아 듣기도 했습니다. 멜로디도 가사도 정말로 아름다웠습니다. 샹송은 '詩 이상의 詩'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샹송을 좋아하게 되면서 프랑스어에도 관심이 갔습니다. 서점에 가서 프랑스어 첫걸음이라는 책을 사서 공부했습니다. 그 책에는 중간 중간 샹송 가사가 적혀 있었습니다. 음악을 찾아 듣고, 발음 나는 대로 가사를 적어보기도 하면서 외우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다 외우는 날에는 친한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불러주기도 했습니다. 후렴구가 유명한 샹송 ‘샹젤리제 거리 'Les Champs-Élysées’는 3절까지 있어서 전화기를 오래 붙들고 있던 날도 있었습니다. 고등학교 때 제2외국어로 프랑스어를 공부했습니다. 재미를 느껴 남들보다 좀 더 열심히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다 프랑스 문화원에서 주최한 샹송대회에 나가기도 했습니다. 그 때 불렀던 곡이 파트리샤 카스의 1집에 있는 ‘내 남자 Mon mec à Moi’라는 곡이었습니다.

 

 

 

Patricia Kaas ⓒ Julie Mayfeng

 

 

에디트 피아프를 위한 파트리샤 카스의 헌정앨범 <KAAS CHANTE PIAF>

 

2013년은 프랑스 샹송의 전설 - 노래하는 작은 참새 ‘에디트 피아프’의 타계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 의미로 파트리샤 카스가 피아프를 위한 헌정앨범 <KAAS CHANTE PIAF 파트리샤 카스, 에디트 피아프를 노래하다>를 녹음했습니다. 카스는 피아프를 노래 하기 위해 피아프가 남기고 간 수백 곡의 노래를 듣고 공부했다 합니다. 피아프가 느낀 온갖 감정들을 제대로 알고 공감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그렇게 1여 년의 시간을 보내고 카스의 목소리로 피아프의 곡들이 녹음되었습니다. 이 음반에는 16곡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보석 같은 피아프의 곡들이 카스의 목소리로 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그 자체가 황홀입니다. '빠담빠담 Padam Padam'이나 '장밋빛 인생 La vie en Rose'과 같이 많이 알려진 곡들 외에도, 카스가 평소에 좋아했던 여러 곡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앨범은 영국의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로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완성되었고, 편곡은 골든 글로브상에 3번이나 노미네이트 되었던 폴란드 출신의 음악가인 아벨 코르제니오프스키(Albel Korzeniowski)가 맡았습니다. 에디트 피아프의 격렬했던 삶과 사랑이 한 장의 앨범에 새롭게 압축되어 담겼습니다. 에디트 피아프와 값진 우정을 나누었던 시인 장 콕토(Jean Cocteau, 1889~1963)는 '피아프 이전에 피아프 없었고 피아프 이후에도 피아프는 없을 것'이라 말했습니다. 파트리샤 카스 역시도 '피아프는 오직 그녀 자신 뿐'이라며 피아프에 대한 존경을 표했습니다.
 

 

 

Patricia Kaas ⓒ Julie Mayfeng

 

 

2012년 ~ 2013년 에디트 피아프 추모 50주년 기념 월드투어

 

헌정 앨범이 발매되던 2012년 11월 5일, 런던의 로얄 앨버트홀에서 프리미어 월드 투어가 시작되었습니다. 뉴욕의 카네기홀, 몬트리올의 올림피아 극장 등 세계 11대 도시, 최고의 공연장에서 계획된 공연에, 서울의 세종문화회관도 포함되었습니다. 서울 공연을 이틀 앞둔 2012년 11월 30일, 서울 중구 봉래동 프랑스문화원에서 파트리샤 카스의 기자간담회가 있었습니다. 그녀를 만난다는 생각에 잠이 오지 않았습니다. 새벽 두 시쯤 일어나 책상 앞에 앉았습니다. 무슨 선물을 하는 게 좋을까, 그 전부터 계속 고민을 했습니다. 그녀의 노래로 행복해하고, 고마워했으니, 마음을 담아 전하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 편지를 읽는 단 몇 분만이라도 그녀가 행복해하는 것. 그것이 내가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선물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노트에 초고를 써두고 편지지를 사러 나갔습니다. 차가운 숨을 들이 마시며 겨울 아침의 모퉁이를 도는 그 순간, 귀에 익은 음악 하나가 시작되고 있었습니다.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그 곡은 에디트 피아프의 ‘아뇨, 난 후회하지 않아요 Non, je ne regrette rien’였습니다. 우연이라 하기엔 너무나 신기한 일이었습니다. '나의 삶이, 나의 기쁨이, 오늘 당신과 함께 시작되니까요.' 노래의 가사까지 제 마음와 같았습니다. 참 묘했습니다. 음악은 문구점 옆의 가게에서 나오고 있었습니다. 정성들여 편지를 옮겨 적고, 1시간 가량 일찍 프랑스문화원으로 갔습니다. 오후 세 시 반 경, 검은색 코트를 입은 짧은 금발의 파트리샤 카스가 도착했습니다. 기자간담회에 앞서 방송사의 인터뷰가 문화원 도서관에서 진행이 되었는데 그 때 카스와 눈이 마주쳤습니다. 현실이 아닌 듯한 기분이었습니다. 기자간담회 중에도 여러 번 눈이 마주쳤고, 그 때마다 미소를 보여주어 고마웠습니다. 기자간담회가 끝나고도 방송 인터뷰 등이 이어졌습니다. 저는 촬영한 사진들을 신문사 보도용으로 급히 올려 주어야 해서 문화원 내, 작은 사무실에서 작업을 해야 했습니다. 열린 문을 통해 그녀의 인터뷰 목소리가 들려 왔습니다. 마치 그녀가 내 집 거실의 소파 위에 앉아 있는 것 같았습니다. 모든 스케쥴을 마치고 호텔로 향하기 직전, 저는 대기실에서 파트리샤 카스와 만남을 가졌습니다. “파트리샤, 피곤할텐데 시간 내줘서 고맙고 미안해요. 저는 포토그래퍼이기 이전에 당신의 오랜 팬이에요. 만나게 되어 영광이에요.” 인사를 나누며 노란색 봉투에 담긴 편지를 전해주었습니다. 그리고 카스는 제가 가져간 석 장의 CD에 일일이 싸인을 해 주었습니다. 싸인된 CD 쟈켓을 케이스에 다시 넣는 것을 그녀의 매니저 시릴(Cyril)이 도와주었습니다. 한 가수를 위해 20년 이상을 함께 일해온 가족 같은 사이, 신뢰라는 게 무엇인지 보여준 그 역시도 참 멋진 사람이었습니다. 싸인을 마친 그녀는 “제 공연에 오시나요?”라고 물었고, 저는 “당연하죠.”라고 대답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헤어졌습니다.

 


 

Patricia Kaas ⓒ Julie Mayfeng


 

서울 세종문화회관, 이틀간의 내한공연

 

12월 2일과 3일, 그녀의 내한 공연이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있었습니다. 하루는 촬영을, 하루는 객석에 앉아 그녀의 공연을 즐겼습니다. 앨범의 11번째 트랙에 수록된 코르제니오프스키가 작곡한 ‘작은 참새를 위한 노래 Song for the little sparrow’가 흘러나오며 공연은 시작되었습니다. 무대 위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에서는 에디트 피아프와 파트리샤 카스의 이미지들이 콜라쥬 되고 있는 영상이 나왔습니다. 공연은 감동이었습니다. 함께 공연을 본 지인은 ‘인생에서 만난 다섯 개의 꿈과 같은 무대 중 하나’라고 하셨습니다. 아직도 그 때의 여운이 깊게 남아 있습니다. 피아프가 느꼈던 모든 감정들을 그대로 끌고 오면서도 카스 특유의 목소리와 창법으로, 완전히 다른 음악을 탄생시켰습니다.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녹음된 반주가 사용됐음에도 불구하고 사운드의 크기나 퀄리티에서 조금도 아쉬움이 없는 무대였습니다. 무대 위에는 바이올린, 키보드, 기타, 아코디언 등 심플하게 구성된 반주팀들이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는 절제되면서도 강렬한 음악을 들려주었습니다. 완벽하게 재해석된 음악에 연극적 구성과 디지털 영상들이 더해져 최고의 공연을 만들어 냈습니다. 파트리샤 카스의 열정이 녹아 든 노래와 연기, 무용, 매너까지 환상적이었습니다. 눈과 귀는 물론 마음이 더 행복해지는 공연이었습니다. 우디앨런 감독의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Midnight In Paris, 2011)'의 주인공처럼 로맨틱한 야행을 떠났다 돌아온 것 같았습니다. 카스를 통해 피아프를 만났으니까요. 파리의 골목길을 함께 거닐기도 하고, 달빛 아래 춤을 추기도 하면서, 에디트 피아프가 겪고 느꼈을 감정과 마음을 헤아려보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Patricia Kaas ⓒ Julie Mayfeng

 

 

파트리샤 카스의 자서전, <L’ombre de ma voix 내 목소리의 그림자>

 

프랑스의 국보급 가수이자 세계적인 아티스트, 파트리샤 카스. 1600만장의 앨범 판매고를 기록하고, 연 100회 이상의 공연을 펼치며 세계를 누비고 있는 성공적인 삶…… 그런 그녀의 성공 뒤에 숨은 수많은 눈물 방울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겁니다. 2011년 3월, 그녀의 자서전 <내 목소리의 그림자 L’ombre de ma voix >가 프랑스의 출판사 Flammarion에서 출간이 되었습니다. 저는 프랑스에 있는 지인을 통해 자서전을 구했습니다. 자서전은 크리스마스 날 아침 부엌에서 나는 따뜻한 냄새로 시작이 됩니다. 그녀는 1966년 12월 5일, 프랑스 북동부의 광산 지방에서, 프랑스인 아버지와 독일인 어머니 사이에서 7남매의 막내로 태어났습니다. 부족할 것이 없는 아주 따뜻한 가정에서 자란 카스는 여덟 살 무렵부터 수많은 노래 경연대회에 참가했습니다. 그러다 열세 살 무렵, 한 음악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것을 계기로 독일 자르브뤼켄(Saarbrücken)의 음악클럽 룸펠캄머(Rumpelkammer)에서 노래하면서 프로 가수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됩니다. 그녀 특유의 낮고 허스키한 목소리 때문에 에디트 피아프(Edith Piaf)나 마를렌 디트리히(Marlene Dietrich)와도 비교가 되곤 했습니다. 그곳에서 7년간의 노래 생활을 마친 카스는, 1985년 한 건축가의 도움으로 파리에서 오디션을 보게 되고, 첫 싱글앨범 <질투하는 Jalouse>을 발표합니다. 프랑스의 배우 제라드 드파르디유(Gérard Depardieu)가 제작을 했지만, 성과는 좋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제라드와의 만남은 카스의 예술가 인생에 아주 중요한 사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후로 발표하는 싱글 앨범들이 히트를 치면서 그녀의 첫 앨범 <Mademoiselle chante… 노래하는 여인>이 성공을 하고, 그 때부터 그녀는 수많은 상들을 휩쓸게 됩니다. 이미 그녀의 성공과 관련된 굵직한 이야기들은 여러 매체를 통해 찾아볼 수 있긴 합니다만, 카스의 자서전에는 그녀 삶의 디테일한 부분들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그녀는 프랑스의 갈라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제 때가 된 것 같았어요. 과거에 이미 여러 차례 자서전을 쓰라는 제안을 받았지만, 항상 거절했었거든요. 너무 빠른 것 같기도 하고요. 그런데 2010년에 저를 테스트 했어요.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요. 순회 공연 직후라 너무 피곤했고, 병원 테스트에서 임신이 불가능하단 소식도 들었어요. 책 작업을 하는 건 내겐 일종의 치유 같은 것이었어요. 지금은 한결 많이 가벼워졌어요.” 그녀의 자서전은 단순히 사실들을 날짜별로 나열한 책이 아닌, 파트리샤 카스 그녀의 '영혼의 기록'이라 할 수 있습니다.

 


 

Patricia Kaas ⓒ Julie Mayfeng

 

 

파트리샤 카스, 아름다운 사람.

 

파트리샤 카스는 성공한 아티스트 이전에 인간적이고 아름다운 사람입니다. 그녀는 아픔이 무엇인지, 고독이 무엇인지, 사랑이 무엇인지 압니다. 카스의 마음 속에는 어린 시절의 따뜻한 기억들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어린 시절, 그녀가 노래할 때 부모님의 눈빛이 반짝이는 걸 보고 행복해하던 소녀였습니다. 아버지가 동네 펍에 데리고 가셔서 “파트리샤 카스가 내 딸이야.”하시며 자랑하실 때에도 수줍어 하면서도 아버지가 행복해하시는 모습에 더 열심히 노래를 불렀던 착한 딸이었습니다. 곁에서 사랑과 용기를 주시던 어머니가 아파 누워 계실 때에도, 딸이 성공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하셨던 어머니를 위해 꿋꿋하게 더 열심히 살았던 딸이었습니다. 카스의 어머니는 1989년, 그녀의 1집 앨범이 나오고 난 얼마 후에 돌아가셨습니다. 그녀의 곡 중에 ‘마지막으로 한번만 Une dernière fois’이라는 사모곡이 있습니다. 그 곡을 들으면 저도 눈물이 납니다. ‘오, 엄마 보고 싶어요, 마지막으로 한번만, 집에서는 사랑한단 말을 하지 못했어요. 그래서 나는 노래를 불러요.’ 어머니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이 가사에 절절히 묻어 납니다. 어머니는 그녀의 멘토였고, ‘정직’과 ‘존경’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를 가르쳐주신 분이었습니다. 이 두 가지가 없다면 재능도 없을 것이고, 부자도 될 수 없고, 아름다운 사람도 아니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그녀는 많은 사람들과 함께 있든지, 아니면 아예 홀로 있든지, 중간이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홀로 있는 시간의 가치를 압니다. 자신을 찾고 돌아보는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녀는 많은 것을 원하진 않지만, 그녀가 선택한 것은 항상 최고여야 하는 완벽함을 추구합니다. 책을 쓸 때도, 완전히 만족할 수 있을 때까지 다듬고 다듬어 출간일이 늦춰지기도 했다 합니다. 그러나 그녀의 성공은 모든 것들이 완벽해서 이뤄진 건 아닙니다. 물론 그녀에겐 재능이 있었지만, 재능 이상으로 노력을 했고, 주변의 도움도 많았기에 가능했다 말합니다. 외롭고 힘든 시간을 긍정적인 마음으로 견디고, 그 시간을 통해, 가지고 있는 것들, 곁에 있는 것들의 소중함과 고마움을 알게 된 파트리샤 카스. 그녀의 음악 인생 25년은 가수로서의 음악적 성공뿐만 아니라 그녀를 더욱 아름다운 사람, 인간적인 사람으로 만들었습니다. 최고의 자리에 있음에도 자기 자신을 낮출 줄 아는 사람. 가능하다면, 덜 성공하고, 자신의 방식으로 삶을 성취하고 싶다는 사람. 고독을 즐기면서도, 언제나 사랑할 여유는 남겨 둔다는 그녀가 언젠가 인터뷰에서 했던 말이 생각납니다.

 

"신을 믿나요?"
"아뇨, 저는 사랑을 믿어요."

 


 

Patricia Kaas ⓒ Julie Mayfeng

 

 

얼마 전 그녀가 페이스북(Facebook)을 통해 제게 메시지를 주었습니다.


I love your photos… Thank you Julie.
Patricia.

 

오랫동안 사랑했던 예술가를 만나고, 사진으로 담을 수 있어 생애 큰 영광이었습니다.
파트리샤, 당신을 존경합니다.
예술가로서도, 인간으로서도.
앞으로도 당신의 예술과 삶을 응원하겠습니다.
언제나 건강하세요.

 

Julie Mayfeng

 

 

현대음악매거진 뮤직프렌즈 2013년 1월호 기고

,
728x90

 

A Korean Kitchen Companion : 28 Recipes for Korean Dishes

Jia Choi (Author)

Julie Mayfeng (Photographer)

 

Publisher: Seoul Selection 
Pub. Date: Mar. 2014 
Pages: 80 
Cover: Spring 
Dimensions (in inches): 5.51 x 8.27 x 0.08 
ISBN: 9781624120251 
Language: English

 

 

 

 

 

 

[Kindle Edition]

 

 

File Size: 56878 KB
Print Length: 107 pages
Publisher: Seoul Selection (May 20, 2014)
Sold by: Amazon Digital Services, Inc.
Language: English
ASIN: B00KH4LA1W
Text-to-Speech: Enabled

 

::shop::

amazon usa

amazon france

amazon uk

amazon india

amazon germany

amazon japan

amazon italia

 

 

 

[iTunes Edition] 

  

 

Published: May 08, 2014

Publisher: Seoul Selection

Seller: Seoul Selection

Print Length: 99 Pages

Language: English

Version: 1.0

 

 

,
728x90

 

 

 

Santorini Series, 2006

ⓒ Julie Mayfeng

 

 

 

 

 

  

 

 

 

  

 

 

 

  

 

 

 

  

 

 

 

  

 

 

 

  

 

 

 

  

 

 

 

  

 

 

 

  

 

 

 

   

 

 

 

 

 

 

 

 

 

,
728x90

 

 

MONOCLE

ISSUE 65 Affairs Report

Leaders to follow - Five mayors (Global)

Seoul mayor Park Won-Soon

Writer Kenji Hall

Photographer Julie Mayfeng

 

 

 

 

 

 

 

,
728x90

 

 

MONOCLE

ISSUE 63 Design Directory - Architecture Library

The Hyundai Card Design Library

Writer Jason Strother

Photographer Julie Mayfeng

 

 

 

 

 

 

 

 

 

,
728x90

 

MONOCLE

ISSUE 66 Affairs Report - Reuniting Korea

South Korea's Ministry of Unification

Writer Kenji Hall

Photographer Julie Mayfeng

 

 

 

 

 

,
728x90

 

MONOCLE

ISSUE 46 Edits - Travel

Korean Air A380

Writer Gabriel Leigh

Photographer Julie Mayfeng

 

 

 

 

 

,
728x90

 

MONOCLE

ISSUE 58 Culture - Media Briefing

Assouline Korea

Writer LP

Photographer Julie Mayfeng

 

 

 

 

,